-
[경제 개념 강의] 3편 / VIX 지수 (feat. 1일 1페이지 부자수업)경제 개념 강의 2022. 1. 1. 00:00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Chachadad입니다.
오늘은 'VIX 지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약 20년 간의 VIX 지수는 아래와
같은 Chart를 그려왔습니다.
아래 Chart에서 회색 막대로
표시된 부분은 "불황"을 나타냅니다.
특히 불황일 때, VIX 지수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X 지수는 아래 site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VIXCLS
CBOE Volatility Index: VIX
Source: Chicago Board Options Exchange Release: CBOE Market Statistics Units: Index,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Daily, Close Notes: VIX measures market expectation of near term volatility conveyed by stock index option prices. Copyright,
fred.stlouisfed.org
<VIX 지수>
VIX 지수(Volatility Index)는
시장의 변동성을 알려주는 지수로,
미국을 대표하는 500 종목을
대상으로 만든 주가지수인 S&P500지수 옵션
가격의 향후 30일간 변동성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VIX지수는 1933년부터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
(CBOE)에서 실시간 제공되고 있다.
VIX지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먼저 옵션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옵션은 일정한 기간 내에 일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이다.
변동성이 커질수록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거나
앞으로 보유하려는 자산의 가격이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위험을 옵션을 구입함으로써
상쇄시키고자 하는데, 이러한 수요로 인해
옵션의 가격이 오르고 옵션의 가격이
오르면 VIX지수 또한 오르게 된다.
변동성은 상승장이나 하락장 모두에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VIX지수가 하락장에서 특히 크게
오르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하락장일수록 더 큰 공포를
느끼며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가격 변동 위험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옵션의 수요가 증가하며
VIX지수는 상승한다.
반면 상승장에서는 시장에 대한 믿음이
크기 때문에 굳이 비용을 들여 가격변동
위험을 회피하려는 수요가 줄어든다.
즉 하락장만큼 옵션에 대한 수요가
많지 않으므로 VIX지수는 하락하는 것이다.
이렇듯 주가가 하락할수록 VIX지수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VIX지수를
가리켜 공포지수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VIX지수는 주가지수,
특히 S&P500지수와 반대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VIX지수를 주가의 방향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선행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VIX지수는 % 단위로 읽는다.
VIX지수가 20이라면 앞으로 한 달 동안
주가가 20% 정도 등락을 거듭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VIX지수는 보통 20~30 정도의 범위를
평균 수준으로 보고 있으며,
40 이상일 경우 공포 구간으로 본다.
참고로 2008년 금융위기 때 시장의 공포가
극에 달하면서 VIX지수는 한때 89.53까지
치솟기도 했다.
반응형'경제 개념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개념 강의] 6편 / 국채가격 & 국채금리란? (4) 2022.01.20 [경제 개념 강의] 5편 / ETF란? (feat. 패시브 ETF & 액티브 ETF) (5) 2022.01.13 [경제 개념 강의] 4편 / 윔블던 효과 (feat. 1일 1페이지 부자수업) (0) 2022.01.01 [경제 개념 강의] 2편 / 긱 이코노미 (feat. 1일 1페이지 부자수업) (0) 2021.12.31 [경제 개념 강의] 1편 / 기회비용 (feat. 최진기의 지금 당장 경제학) (0) 2021.12.25